이름이 비슷해 헷갈리는 청년 지원 통장. 보건복지부·금융위원회 2025 운영지침을 기준으로 대상·혜택·신청 시기를 정리했습니다.
주요 제도 한눈에 비교
제도 | 가입 연령 | 소득 / 재산 기준 (’25) |
정부 매칭·지원 | 납입 한도·기간 | 최대 수령액* (원금+정부지원) |
사이트 |
---|---|---|---|---|---|---|
청년내일저축계좌 | 만 19~34세 | 가구 중위소득 100 % 이하 재산 3.8억 (대도시 5.0억) 이하 |
① 50 %↓ → 월 30 만 ② 50∼100 % → 월 10 만 매칭 |
본인 월 10 만, 3년 | ① 약 1,440 만 원 ② 약 720 만 원 |
복지로 |
청년도약계좌 | 만 19~34세 |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 소득구간별 이자·납입장려금 (월 6 천 ~ 1.2 만 원) |
월 70 만, 5년 | 원금 4,200 만+이자 ≒ 5천 만+ | 금융감독원 (참여은행 앱·영업점) |
청년희망적금 | 만 19~34세 | 총급여 3,600만 원 이하 | 저축장려금(2년간 36 만)+비과세 | 월 50 만, 2년 | 약 1,030 만 원 | 청년희망적금.kr (서민금융진흥원) |
* 이자율 3.5 % 가정(세전) 예시 / 금리·예산 변동 시 변경될 수 있음
※ 사이트 접속이 안 되면 주소창에 청년희망적금.kr
을 직접 입력하거나 검색창에 “복지로 청년내일저축계좌”·“청년희망적금.kr” 등으로 검색해 첫 공식 링크로 접속하세요.
반응형
내 소득·목표별 추천
- 소득이 낮고 자산도 적다 → 청년내일저축계좌 30 만 매칭
- 월 70 만 원까지 목돈을 모으고 싶다 → 청년도약계좌
- 단기 2년 + 높은 이자 혜택 → 청년희망적금
FAQ
- Q. 생계급여 수급자는 내일저축계좌 가입 불가?
A. 네. 현금성 급여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제외됩니다. - Q. 중도 해지 시 지원금은?
A. 본인 저축액·이자는 돌려받고, 정부 매칭액은 일부·전액 반환. - Q. 중복 가입 가능?
A. 금융상품(희망적금·도약계좌)끼리는 가능, 내일저축계좌 매칭은 단일 지원.
마무리 한줄
소득·목표·기간을 따져 가장 효율적인 통장을 선택하고, 3년·5년 후 여유 자산을 만들어 보세요!
반응형
'Today 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소비 트렌드 'SNAKE SENSE'란? (1) | 2025.04.07 |
---|---|
ChatGPT + AI로 만든 지브리 스타일 프로필 사진, 나도 해봤다! (4) | 2025.04.03 |
2025 청년 전세자금대출 자격 & 상품 비교 (3) | 2025.04.02 |
2025년 건강보험료 기준표 정리 - 지역가입자 · 직장가입자 · 피부양자 기준까지 한눈에! (0) | 2025.04.02 |
2025 기초생활수급자 기준 & 급여 총정리 (3) | 2025.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