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주변에서 "청년도약계좌 가입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으셨나요?
금리 하락기에도 정부 기여금 + 비과세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 가입 문의가 많다고 합니다. 다만 “연 6.5 %” 같은 광고성 표현에는 오차가 있으니, 공식 요건·지원 한도를 정확히 확인하세요.
1. 기본 구조
- 가입 기간 : 5년(60개월)
- 월 납입 : 30 만 ~ 70 만 원(자유 선택·변경 가능)
- 이자 과세 : 이자소득세 전액 비과세 (15.4 % 절감)
2. 연령·소득 기준
항목 | 2025 요건 |
---|---|
연령 | 만 19 ~ 34세 병역이행(최대 6년) 차감 인정 |
개인 연 소득 | 7,500만 원 이하 |
가구 소득 | 기준중위소득 180 % 이하 |
가구 재산 | 5억 원 이하 (주택 + 금융 + 자동차 등) |
반응형
3. 정부 기여금 & 체감 금리
은행 기본금리(2025‑03 기준 평균 3.3 %)에 더해 소득구간별 정부 기여금이 붙습니다.
소득구간* | 정부 기여금 (월) |
5년간 총액 | 예상 체감금리** |
---|---|---|---|
구간 Ⅰ (중위 80 % ↓) | 33,000원 | 198만 원 | 약 5.1 % |
구간 Ⅱ (80 % ~ 140 %) | 24,000원 | 144만 원 | 약 4.5 % |
구간 Ⅲ (140 % ~ 180 %) | 6,000원 | 36만 원 | 약 3.7 % |
* 가구 중위소득 기준 / ** 은행 기본금리 3.3 %, 월 70만 원 납입 가정
☞ 광고에서 보던 ‘연 6 % 이상’은 저소득 구간 + 최고 우대금리 시뮬레이션이며, 평균 체감금리는 3.7 ~ 5 %대입니다.
4. 중도 해지 시 불이익
- 3년 미만 해지 : 정부 기여금 전액 환수 + 이자 15.4 % 과세
- 3년 ~ 5년 미만 : 기여금 40 % 환수·60 % 유지 (비과세 유지)
- 천재지변·구직급여 수급 등 예외 사유는 전액 유지
5. 신청 절차
- 가입 가능 은행 확인 : 11개 시중은행 앱·창구
- 소득·재산 요건 자동 조회 : 공동인증서로 ‘청년도약계좌 적합 여부’ API 조회
- 계좌 개설 & 자동이체 등록 : 월 납입액(30~70 만 원) 선택
6. 은행별 금리 비교 팁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청년도약계좌’ 금리·우대조건을 실시간 비교 후 선택하세요. 재직확인 우대 + 급여이체 우대를 합쳐야 체감금리가 높아집니다.
한눈 요약
- 연령 19‑34 세 · 개인소득 7,500 ↓ · 가구 중위 180 % ↓
- 월 30‑70만 원 납입, 정부 기여금 6 천~3.3 만 원
- 평균 체감금리 3.7 ~ 5 % … “6 %대”는 최고치 예시
- 5년 유지 시 이자 비과세 · 기여금 100 % 수령
조건이 맞는다면 장기 목돈 마련용으로 탁월합니다. 다만 5년 유지 의지·현금흐름을 먼저 체크해 보세요!
반응형
'Money 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5060 세대 7 명 中 5 명 “노후 준비 부족” — 현실 점검 & 해법 (0) | 2025.03.10 |
---|---|
2024 하반기분 근로장려금 반기 신청 완벽 가이드 (0) | 2025.03.04 |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확인지급 대상 및 신청방법 (0) | 2022.07.07 |
에너지 바우처 신청, 지금 하세요. (0) | 2022.06.24 |
저소득층 긴급생활지원금, 완벽 정리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