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ney is

"다들 몰래 돈 모으고 있었네?" 2025 청년도약계좌 가입 전 꼭 알아둘 7가지

by 행복한 제주언니 2025. 3. 4.

2025년 청년도약계좌 최신 요건(연 소득 7,500만 원↓, 가구 중위 180 %↓), 정부 기여금·체감금리, 가입 절차를 금융위원회 가이드(2024‑12‑28)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요즘 주변에서 "청년도약계좌 가입했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으셨나요? 
금리 하락기에도 정부 기여금 + 비과세 혜택을 동시에 누릴 수 있어 가입 문의가 많다고 합니다. 다만 “연 6.5 %” 같은 광고성 표현에는 오차가 있으니, 공식 요건·지원 한도를 정확히 확인하세요.

1. 기본 구조

  • 가입 기간 : 5년(60개월)
  • 월 납입 : 30 만 ~ 70 만 원(자유 선택·변경 가능)
  • 이자 과세 : 이자소득세 전액 비과세 (15.4 % 절감)

2. 연령·소득 기준

항목 2025 요건
연령 만 19 ~ 34세
병역이행(최대 6년) 차감 인정
개인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기준중위소득 180 % 이하
가구 재산 5억 원 이하 (주택 + 금융 + 자동차 등)

반응형

3. 정부 기여금 & 체감 금리

은행 기본금리(2025‑03 기준 평균 3.3 %)에 더해 소득구간별 정부 기여금이 붙습니다.

소득구간* 정부 기여금
(월)
5년간 총액 예상 체감금리**
구간 Ⅰ (중위 80 % ↓) 33,000원 198만 원 약 5.1 %
구간 Ⅱ (80 % ~ 140 %) 24,000원 144만 원 약 4.5 %
구간 Ⅲ (140 % ~ 180 %)  6,000원  36만 원 약 3.7 %

* 가구 중위소득 기준 / ** 은행 기본금리 3.3 %, 월 70만 원 납입 가정
☞ 광고에서 보던 ‘연 6 % 이상’은 저소득 구간 + 최고 우대금리 시뮬레이션이며, 평균 체감금리는 3.7 ~ 5 %대입니다.

4. 중도 해지 시 불이익

  • 3년 미만 해지 : 정부 기여금 전액 환수 + 이자 15.4 % 과세
  • 3년 ~ 5년 미만 : 기여금 40 % 환수·60 % 유지 (비과세 유지)
  • 천재지변·구직급여 수급 등 예외 사유는 전액 유지

5. 신청 절차

  1. 가입 가능 은행 확인 : 11개 시중은행 앱·창구
  2. 소득·재산 요건 자동 조회 : 공동인증서로 ‘청년도약계좌 적합 여부’ API 조회
  3. 계좌 개설 & 자동이체 등록 : 월 납입액(30~70 만 원) 선택

6. 은행별 금리 비교 팁

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에서 ‘청년도약계좌’ 금리·우대조건을 실시간 비교 후 선택하세요. 재직확인 우대 + 급여이체 우대를 합쳐야 체감금리가 높아집니다.

한눈 요약

  • 연령 19‑34 세 · 개인소득 7,500 ↓ · 가구 중위 180 % ↓
  • 월 30‑70만 원 납입, 정부 기여금 6 천~3.3 만 원
  • 평균 체감금리 3.7 ~ 5 % … “6 %대”는 최고치 예시
  • 5년 유지 시 이자 비과세 · 기여금 100 % 수령

조건이 맞는다면 장기 목돈 마련용으로 탁월합니다. 다만 5년 유지 의지·현금흐름을 먼저 체크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