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oday is

Windows 10 지원 종료 메시지! - Windows 11 업그레이드 어렵지 않아요

by 행복한 제주언니 2025. 4. 17.

2025년 Windows 10 지원 종료를 앞두고 직접 Windows 11 업그레이드를 진행한 실제 후기입니다. 단계별 캡처 이미지와 함께 막히는 포인트, 해결법을 친절하게 정리했습니다.

2025년 10월 14일부로 Windows 10의 기술 지원이 종료됩니다.
최근 PC를 켤 때 이런 메시지, 보신 적 있지 않나요?

지원이 종료되기 전에 PC를 업그레이드하세요

Windows 10 지원 종료 안내 메시지


이런 메시지가 떠도 한동안은 무시했었죠. ‘아직 시간도 있고, 비용이 들진 않을까?’ 싶기도 했고요. 하지만 날짜가 다가오면서 ‘이제는 더 미루면 안 되겠다’ 싶어 직접 업그레이드를 진행해봤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정품 Windows 10 사용자라면 무료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단, 먼저 내 PC가 Windows 11을 지원하는지 호환성 검사를 해보는 것이 첫 단계입니다.

1단계. 호환성 검사: 내 PC가 지원하는지 확인

아래 링크에서 Microsoft 공식 PC 상태 검사 도구를 다운로드하여 실행하세요.

✔️ PC 상태 검사 도구 다운로드

 

검사 후, 제 PC는 Windows 11 요구 사항을 충족한다고 나왔습니다. 많은 사용자들도 비슷한 결과를 보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만약 "이 PC는 Windows 11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온다면, 아래 'TPM 설정 안내' 섹션을 참고해 주세요.

Pc 상태 검사 결과 화면 - Windows 11 기능


참고로 저는 전체 설치에 약 2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사양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설치 중에도 일부 작업은 가능합니다.


반응형

2단계. 중요한 파일은 백업!

Windows 11 업그레이드는 기존 파일과 앱을 유지하지만, 예기치 않은 오류에 대비해 중요한 사진, 문서, 영상 등은 반드시 백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혹시나 해서 가장 중요한 파일 2개만 네이버 MYBOX에 옮겨뒀었는데, 업그레이드 완료 후 모두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3단계. 설치 도우미 다운로드

아래 링크에서 Windows 11 설치 도우미를 다운로드해 실행하면 됩니다.

✔️ 설치 도우미 다운로드 (Microsoft 공식)

 

Windows 11 다운로드

이 옵션은 부팅 가능한 설치 미디어(USB 플래시 드라이브, DVD)를 만들거나 가상 컴퓨터(.ISO 파일)을 만들어 Windows 11을 설치하려는 사용자를 위한 옵션입니다. 이 다운로드는 제품 키를 통해 올바

www.microsoft.com

4단계. 다운로드 완료 후 정체? 놀라지 마세요

100% 다운로드가 끝났는데도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는 경우, PC 사용 시간대 설정 때문에 설치가 자동 지연될 수 있습니다.
저는 사용 시간대를 바꿔주었더니 바로 다음 단계로 넘어갔습니다.

Windows 설치 도중 정체된 화면 - 사용 시간 영향



5단계. 설치 시작, 재부팅 후 자동 진행

설치가 진행되면 3%, 20%... 식으로 퍼센트가 올라갑니다. 이후 자동 재부팅되며 파란 화면에서 ‘업데이트 구성 중’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 절대 전원 종료는 금지! 전원은 꼭 연결해두세요.

Windows 11 설치 중 진행 화면


6단계. 설치 완료! 바뀐 첫 화면 확인

설치 완료 후 Windows 11이 실행되며, 바탕화면과 작업 표시줄, 시작 메뉴 등 UI가 달라졌습니다. 기존 파일과 앱은 그대로 유지되어 안심할 수 있었습니다.

TPM 및 보안 부팅 설정이 안 되어 있는 경우?

Windows 11을 설치하려는데 “지원되지 않음” 메시지가 나올 경우, 사양은 충분하지만 TPM 2.0이나 Secure Boot 기능이 BIOS에서 꺼져 있는 경우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땐 다음 순서대로 진행해 보세요:

  1. PC를 끄고, 다시 켜자마자 F2 / Del / F10 등의 키를 눌러 BIOS(또는 UEFI)로 진입합니다.
  2. TPM 설정: 보통 Security 또는 Advanced 탭에 있으며, 'TPM Device'를 Available 또는 Enabled로 설정하세요.
  3. Secure Boot 설정: 보통 Boot 탭에 있으며, Enabled로 변경하세요.
  4. 저장(Save & Exit) 후 재부팅하고 다시 상태 검사 도구를 실행해 보세요.

※ 제조사마다 메뉴 위치와 명칭이 다르니, “삼성 TPM 설정” 같이 검색해보시면 더 정확한 도움을 받을 수 있어요.

마무리하며

막연히 어렵고 귀찮게 느껴졌던 Windows 11 업그레이드, 막상 해보니 단계별로 따라가기만 하면 충분히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이 망설이던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 ❤️ 과 댓글로 응원 부탁드립니다!

반응형

댓글